창원특례시의회, '박승엽·박해정 의원 설전' 오고가'합리적, 인간적, 노동을 존중하는 노동개혁' 결의안 가결
이날 국민의힘 박승엽 의원은 "합리적, 인간적, 노동을 존중하는 노동개혁"에 대한 결의안을 건의했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박해정 의원은 이에 반대하는 의견으로 박승엽 의원의 건의안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먼저 박해정 의원은 박승엽 의원이 주장한 근로 기준법에 대해 "근로기준법은 1997년에 새롭게 제정되었고 이후 39회 개정되었으며, 결의문 상에 1953년 제정 후 변화가 없었다는 것은 잘못된 정보라고 반박했다"
박승엽 의원도 박해정 의원의 반박에 대해 "우선 이 자리를 빌려 선배 의원들에게 많은 것을 배우게 해주셔서 감사하다"며 "자료가 부족하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보완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진 노사부조리 신고센터에 대해서도 박해정의원은 "현재 노사부조리신고센터에 신고된 내용에는 노동자와 기업간의 내용이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노사부조리신고센터는 노조문제가 아니라 노동자와 기업간의 문제를 다루는 곳이지 노조의 폭력성, 비리 내용과는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박승엽 의원은 "맞습니다. 노사부조리신고센터는 포괄임금 오남용, 임금체불, 부당노동행위, 불공정채용, 직장내 괴롭힘 등 기업에 의한 5대 불법·부조리 근절을 골자로 하는 것이며, 노동개혁을 노조문제로만 접근하려는 인식이 잘못됐다"고 반박했다.
노조 회계 공시시스템에 관해서도 박해정 의원은 "노조에 지급된 보조금 공개는 노동조합법에 따라 회계 감사 후 조합원에게 공개 되기에 “120곳에 보조금 공개를 하지 않았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에 박승엽 의원은 "창원시에서 지급되는 수많은 보조금도 보조금 정산서 제출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조금 사용 투명성이 보장된다. 노조에게 지급된 보조금을 노조끼리 공개하고 감사하는 것은 노조 회계 투명성을 위해 정당한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고용세습문제에 대해서도 설전은 이어졌다. 박해정 의원은 "제시된 고용세습관련 건은 2022년말 기준이고 지금은 노조 세습관련 조항을 노조마다 많이 줄였고, 계속해서 더 줄이고 있는 과정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청년 출신 박승엽 의원은 "결의문에도 기준이 2022년말이라고 되어있다. 현재의 고용세습 조항이 있는 기업의 숫자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나, 한 곳이라도 있다는 자체가 문제다. 수많은 청년들과 대학생들이 취업의 기회를 얻기 위해 노량진 등에서 밤을 새워 공부하는데 아버지가 노조원이라고 해서 자신의 직업을 아이들에게 세습한다는건 정말 공정하지 못하다. 고용세습은 공정한 사회를 위해 꼭 사라져야 한다"며 강하게 반박했다.
근로시간 관리단위 다양화 문제에 대해서도 박해정 의원은 "주 52시간에서 근로시간을 주 64시간까지 늘리면 노동자의 업무 과중이 커진다고 밝혔다.
이에 박승엽 의원은 "'연장근로총량제‘에 의해 연간 근로시간 단위 계획이 적용될 경우 연장 근무시간이 오히려 적어진다. 원하는 시기에 일하고 쉬고 싶을 때 충분히 쉴 수 있기 때문에 근로자에 따라 능동적인 휴식이 가능하다. IT, 스타트업 등 프로젝트성 기업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많아 짐에 따라 기존의 경직된 근로시간제도 강제준수 보다는 유연한 근로시간제도가 현실을 더 잘 반영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청년들이 많은 IT, 스타트업에 근무하는 청년들을 대변했다.
원·하청 상생모델 문제에 대해서도 박해정 의원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임금격차 등 이중구조는 노조에 의한 문제는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서도 박승엽 의원은 "원·하청 상생모델은 노조의 문제를 꼬집는 것이 아니라 ‘원청이 하청업체에 적정 기성금 (공사가 이뤄진 만큼 주는 돈)을 지급하고, 하청은 인금인상률을 높여 원·하청간 보상 수준 격차를 줄이는 것이다. 모든 문제를 노조문제로 귀결시켜 노동개혁 결의문을 비판하는 건 옳지않다. 그리고 원·하청 상생모델은 원·하청 거래질서 확립 및 하도급 구조개선을 위하고 원·하청간 보상 수준 격차를 줄이는데 의의를 가진다. 창원시 대표 기업인 엘지전자가 가장 대표적인 문제다.
엘지전자가 1차 협력업체와 하도급 계약을 맺고, 1차는 다시 2차에 계약을 맺는다. 1차 협렵업체는 아무일도 하지 않고 많은 수준의 마진을 확보 후 2차 업체에 일을 넘긴다. 이런 구조 타파를 위해 원·하청 상생모델은 꼭 시행 되어야 한다. MZ세대와 소외 받는 신생노조 그리고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88%의 근로자들을 보호하자는데 이것을 정치적으로 해석한 박해정 의원에게 실망스럽다"며 반박헸다.
이어진 '합리적, 인간적, 노동을 존중하는 노동개혁' 결의안에 대해 창원특례시의원들은 표결했고, 투표결과 재석수 39명, 찬성 20명, 반대 18명, 기권 1명으로 가결됐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Changwon Special City Council, 'Park Seung-yeop and Park Hae-jeong'
'Reasonable, humane, and labor-respecting labor reform' resolution passed
The Changwon Special City Council held its 122nd plenary session on the 10th and will handle a total of 37 agendas, including 16 ordinance proposals, through the 9-day extraordinary session schedule.
On this day, Rep. Park Seung-yeop of the People's Power proposed a resolution for "reasonable, humane, and labor-respecting labor reform." However, Minjoo Party lawmaker Park Hae-jeong objected to this and refuted item by item against Rep. Park Seung-yeop's proposal.
First, Congressman Park Hae-jeong refuted the Labor Standards Act, which was newly enacted in 1997, and has since been revised 39 times.
Rep. Park Seung-yeop also said, "First of all, thank you for borrowing this seat to learn a lot from senior lawmakers," and "if there is a lack of data or wrong parts, I will make up for it."
Regarding the labor-management irregularities report center that followed, Rep. Park Hae-jeong said, "Currently, a lot of the contents reported to the labor-management irregularities report center are between workers and companies. It has nothing to do with the violence and corruption of the easy union."
However, Rep. Park Seung-yeop said, "That's right. The main focus of the Labor-Management Irregularities Reporting Center is to eradicate five major illegal and irregularities by companies, such as misuse of comprehensive wages, overdue wages, unfair labor practices, unfair recruitment, and workplace bullying. The perception of trying to approach it only is wrong,” he refuted.
Regarding the union accounting disclosure system, Rep. Park Hae-jeong refuted, saying, "Disclosure of subsidies paid to unions is disclosed to union members after an audit in accordance with the Trade Union Act, so it is wrong to say that 120 subsidies were not disclosed."
In response, Rep. Park Seung-yeop said, “The submission of subsidy accounts is also mandatory for numerous subsidies paid by Changwon City, and through this, transparency of subsidy use is guaranteed. I don't think so," he said.
The battle of words continued on the employment succession issue. Rep. Park Hae-jeong said, "The proposed employment succession-related cases are as of the end of 2022, and now, each union has greatly reduced the provisions related to union succession, and it is in the process of continuing to reduce them further."
Regarding this, Park Seung-yeop, a young man, said, “The resolution also says that the standard is the end of 2022.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number of companies with the current employment succession clause, but the fact that there is even one is a problem. He strongly refuted, saying, "I stay up all night studying in Noryangjin, etc. to get a chance to work, but it's really not fair to hand down my job to my children just because my father is a member of the union. Employment succession must disappear for a fair society."
Regarding the diversification of working hour management units, Rep. Park Hae-jeong said, "If the working hours are increased from 52 hours a week to 64 hours a week, the workload of workers increases."
In response, Rep. Park Seung-yeop said, "If the annual working hour unit plan is applied according to the 'overtime total amount system', the overtime hours will rather decrease. Because you can work when you want and rest enough when you want to rest, active rest is possible depending on the worker. As the number of workers working in project-oriented companies such as IT and startups increases, I think a flexible working hour system can better reflect the reality than the existing rigid working hour system," he said. Represented young people working in the industry.
Regarding the win-win model between prime and subcontractors, Rep. Park Hae-jeong insisted, "The dual structure, such as the wage gap between conglomerates and SMEs, is not a problem caused by unions."
Regarding this, Rep. Park Seung-yeop said, "The win-win model between prime contractor and subcontractor is not to pinpoint the problems of the union, but 'the prime contractor pays the subcontractor an appropriate amount of money (money given as much as the construction is completed), and the subcontractor raises the wage increase rate to compensate the prime contractor and subcontractor." It is to reduce the level gap. It is not right to criticize the labor reform resolution by reducing all problems to union issues. And the win-win model between prime contractor and subcontractors is to establish order in prime contractor and subcontract transactions and improve the subcontract structure, and to improve the level of compensation between prime contractor and subcontractors. It is meaningful in reducing the gap, and LG Electronics, a representative company in Changw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problem.
LG Electronics signs a subcontract with the tier 1 partner, and the tier 1 contracts with the tier 2 again. The primary partner does nothing and secures a high level of margin before handing over the work to the secondary. In order to break this structure, the win-win model between primary and subcontractors must be implemented. I am disappointed with Congressman Hae-Jeon Park, who interpreted this politically to protect the MZ generation, the newly marginalized union, and 88% of worker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Changwon special city council members voted on the resolution of the 'reasonable, humane, and labor-respecting labor reform' that followed. <저작권자 ⓒ 브레이크뉴스경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는 breakgn@naver.com
댓글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