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기자수첩] '재난은 예방이 최우선' 창원시 전담반 절실

"시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창원시의 결정에 달렸다"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3/08/25 [15:01]

[기자수첩] '재난은 예방이 최우선' 창원시 전담반 절실

"시민의 생명과 재산보호 창원시의 결정에 달렸다"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3/08/25 [15:01]

▲ 브레이크뉴스 이성용 경남본부장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창원특례시는 올 여름 지속적인 폭우와 태풍으로 기후위기대응에 대한 새로운 모습의 조직 변화가 필요해 보인다. 

 

올 여름 유난히도 길었던 장마와 폭우 그리고 이례적인 여름 태풍은 강한 바람과 함께 시간당 최고 60mm 이상의 비를 뿌리며 도시를 마비시켰으며, 이것이 끝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일어날 일상이 될 것이라는 불안한 예측과 함께 기우위기에 대한 새로운 준비를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강한 경고를 남겼다.

 

최근 국가인권위원회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낮게 설정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이하 탄소중립기본법)’은 미래 세대의 기본권을 침해한다”는 의견을 헌법재판소에 제출했다. 

 

유엔은 지구가 병들어 가면서 일으키는 엘리뇨 현상은 그 수위가 감당 불가능할 정도의 슈퍼 엘리뇨가 매년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며, 국가와 지자체가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위기를 예고 하고 있고, 이런 위기에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5~65%까지 감축하겠다고 공언했고, 2030년 배출전망치 대비 37%를 줄이겠다는 내용의 감축목표를 2015년 6월 유엔에 제출했다.

 

경상남도는 지난해 재난대응 역량강화와 종합적인 대응체계를 위해 통합상황실을 구축하고 컨트롤타워를 구축했다. 지난 서울 이태원 참사 이후 종합적인 대응체계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119·112상황실, 시·군 CCTV 관제센터가 신속하게 정보를 공유하고 연계·협력하는 대응체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라고 박완수 도지사는 밝혔다.

 

이런 계획에 따라 경남도는 재난·사고 정보의 신속한 공유와 대응을 위해 재난안전상황실을 4급 직제인 과 단위로 확대하고 경남도·소방·경찰공무원이 협력하는 근무체계로 전환했다. 기존엔 경남도 공무원 9명이 24시간씩 3교대로 근무했지만, 지금은 소방 인력을 포함한 총 25명의 인원이 4교대로 근무하고 있다. 

 

경남도 내 재난에 관련한 전담요원을 두고 있는 도시는 통영시, 거제시, 사천시, 밀양시가 있다. 하지만 이보다 몸집이 큰 창원시에는 전담요원이 없어 자연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동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리고 수원, 용인, 고양특례시도 재난담당 전담조직을 운영하고 있지만, 4개 특례시 중 창원시만 전담반을 운영하지 않고 있다.

 

현재 창원시는 자연재해에 대한 전담을 재난대응담당관에서 도맡아 하고 있다. 재난대응담당관은 총 4개의 팀으로 사회재난팀, 재난1팀과 2팀 그리고 통합관제팀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현재의 조직으로는 다양하고 지속적인 기후위기대응과 이태원 참사 같은 재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조직이 너무도 빈약하고 허술하다.

 

갈수록 늘어나는 자연재난과 이태원 참사 그리고 무분별하게 일어나고 있는 분당 흉기난동 사건 등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 예상된다. 이런 일들에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차원의 재난담당 전담조직을 구성해 운영하는 것이 절실해 보인다.

 

재난은 예방이 최우선이라는 답은 이미 다 알고 있다. 이를 행동으로 옮겨 다가올 재난에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얼마나 안전하게 지켜줄 것인지는 창원시의 몫인 만큼 신속하면서도 정확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Report Note] Changwon Special City, 'disaster prevention is the top priority' task force is desperately needed

 

"It depends on the decision of Changwon City to protect citizens' lives and property."

 

Changwon Special City seems to need a new organizational change in response to the climate crisis due to continuous heavy rains and typhoons this summer.

 

This summer's exceptionally long rainy season, heavy rain, and an unusual summer typhoon paralyzed the city with strong winds and rain of up to 60mm per hour. New preparations for the rain crisis along with the anxious prediction that this will not be the end but a continuing daily routine. He left a strong warning that he had to do it.

 

Recentl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NHRCK) submitted an opinion to the Constitution that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and Green Growth for Climate Crisis Respons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amework Act on Carbon Neutrality)’, which set th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NDC) low, violates the basic rights of future generations.” submitted to the tribunal.

 

The United Nations predicts that the El Niño phenomenon, which is caused by the earth becoming sick, is a crisis that the country and local governments will find difficult to cope with, as the level of Super El Niño continues to come every year. In June 2015, it announced that it would reduce gas emissions by 25-65%, and submitted a reduction target of 37% compared to the 2030 projection to the United Nations.

 

Gyeongsangnam-do built an integrated situation room and a control tower to strengthen disaster response capacity and comprehensive response system. The goal i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response system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after the Itaewon disaster in Seoul, and to create a response system in which 119/112 situation rooms and city and county CCTV control centers can quickly share information, connect and cooperate, said Governor Park Wan-soo. .

 

According to this plan, Gyeongsangnam-do expanded the Disaster and Safety Control Center to 4th-level departments and units to promptly share and respond to disaster and accident information, and converted into a joint work system with Gyeongnam-do, firefighting, and police officers. In the past, nine civil servants from Gyeongsangnam-do worked in three shifts of 24 hours each, but now a total of 25 people, including firefighters, are working in four shifts.

 

Tongyeong, Geoje, Sacheon, and Miryang are the cities that have dedicated agents related to disasters in Gyeongsangnam-do, and Changwon, which is larger than these, has no dedicated agents, which is why prompt response to natural disasters is not in operation. In addition, Suwon, Yongin, and Goyang Special City also operate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disaster management, but only Changwon City among the four special cities does not operate a task force.

 

Currently, Changwon City is in charge of natural disasters with the Disaster Response Officer. The Disaster Response Officer consists of a total of four teams, including the Social Disaster Team, Disaster Teams 1 and 2, and the Integrated Control Team. It's so poor and flimsy.

 

The ever-increasing number of natural disasters, the Itaewon disaster, and the indiscriminately happening Bundang weapon riot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In order to respond quickly and accurately to these issues, it seems urgent that Changwon City also organizes and operates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disasters as a preventive measure.

 

We already know the answer that disaster prevention is the top priority. As it is up to the city of Changwon to decide how safely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ies of citizens in the event of an upcoming disaster by putting this into action, I strongly urge the city of Changwon to devise quick and accurate countermeasures.

제보는 breakgn@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