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박춘덕 경남도의원 “진해 신항 배후단지 부족문제 해결하라”

항만경쟁력 제고 위해 ‘ICD 통한 배후단지 입지정책 다변화’ 필요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3/10/24 [14:45]

박춘덕 경남도의원 “진해 신항 배후단지 부족문제 해결하라”

항만경쟁력 제고 위해 ‘ICD 통한 배후단지 입지정책 다변화’ 필요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3/10/24 [14:45]

▲ 박춘덕 의원이 창원지역 출신 도의원 20명과 기자회견을 열고, 진해 신항의 내륙컨테이너기지 ICD 건설을 통해 해수부가 배후물류단지 공급부족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대한민국 최대 국책사업인 진해 신항 건설이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24일 경남도의회 1층 브리핑룸에서 박춘덕 의원을 비롯한 창원지역 출신 도의원 20명이 기자회견을 열고, 진해 신항의 내륙컨테이너기지 ICD 건설을 통해 해수부가 배후물류단지 공급부족 문제 해결에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진해지역은 전통적으로 평지가 적고 다수의 국방시설과 개발제한구역이 도심지에 산재함에 따라 가용지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경남도 역시 진해 신항이 개장하는 2030년 기준 배후단지의 수요면적 대비 공급가능 부지가 턱없이 부족할 것을 예상하고, 진해 신항 배후단지 공급부족에 따른 내륙지역 개발의견을 해수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했다. 

 

이날 기자회견장에서 박춘덕 의원은 “부산항 제1신항 북컨테이너(1단계) 배후단지는 애초에 물류기지로 계획되어 있었으나, 도시기본계획 변경으로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인근 지역은 컨테이너 주차장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고 말하며 직접 준비한 자료화면을 제시했다.

 

또 “항만 지원시설로 활용 가능한 부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진해지역 특성을 감안한다면, 향후 2040년 진해 신항 완공 시기의 물류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진해신항 건설과 배후단지 물류산업의 연계 발전을 위해서 신항으로 진입하는 진해 외곽에 50만평 정도 규모의‘(가칭)진해ICD’를 건설할 것을 촉구하며, 기자회견문을 통해 구체적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 

 

▲ 첫째, 해양수산부가 제시하는 해면부 매립만으로는 필요면적을 충족시킬 수 없으므로, 배후부지가 좁은 진해신항의 물동량을 내륙으로 이동시켜 처리할 수 있는 내륙컨테이너기지(ICD) 건설을 통해 장소적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 둘째, ‘복합연계운송’에 용이한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고 있는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입지 특성을 활용함으로써 배후단지 입지정책 다변화를 통해 진해 신항의 미래수요를 대비해야 한다.

 

또한, 경남도가 진해신항과 가덕도신공항 개항에 대비해 김해권·창원진해권·거제권 총3개 권역에 대해 물류 에어시티 조성계획을 갖고 있는 바, 차제에 내륙컨테이너기지 ICD 건설계획을 포함할 것을 제안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Gyeongnam Provincial Assemblyman Park Chun-deok “Resolve the problem of shortage of Jinhae New Port hinterland complex”

 

To improve port competitiveness, ‘diversification of hinterland location policy through ICD’ is necessary.

 

As the construction of Jinhae New Port, Korea's largest national project, is in full swing, 20 provincial council members from the Changwon area, including Rep. Park Chun-deok, held a press conference in the briefing room on the first floor of the Gyeongnam Provincial Council on the 24th, and announced that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will be behind the Jinhae New Port's inland container base ICD construction. He urged them to actively take action to solve the problem of supply shortage in the logistics complex.

 

The Jinhae area has traditionally had little flat land,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available land as many defense facilities and restricted development areas are scattered in the city center.

 

Gyeongnam Province also predicted that there would be a severe shortage of land available for supply compared to the demand area of the hinterland complex as of 2030, when Jinhae New Port opens, and continued to suggest opinions on development of inland areas to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due to the lack of supply for the Jinhae New Port hinterland complex.

 

At the press conference that day, Rep. Park Chun-deok said, “The hinterland complex of Busan Port’s 1st New Port North Container (Phase 1) was originally planned as a logistics base, but with the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due to changes in the city’s basic plan, the nearby area is suffering from container parking lots.” He said and presented a data screen that he personally prepared.

 

He also emphasi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inhae region, where there is an absolute lack of land available for port support facilities, special measures are needed to meet the logistics demand when Jinhae New Port is completed in 2040.”

 

Accordingly, in order to develop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struction of Jinhae New Port and the logistics industry in the hinterland, we urge the construction of a '(tentative name) Jinhae ICD' of approximately 500,000 pyeong on the outskirts of Jinhae where the new port enters, and the specific reasons were stated in a press conference as follows. .

 

▲ First, since the required area cannot be met through sea level reclamation alone a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the limitations of location are overcome by constructing an inland container depot (ICD) that can handle the cargo volume of Jinhae New Port, which has a narrow hinterland, by moving it inland. Must overcome. ▲ Second, by utilizing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land Container Depot (ICD), which is located in a strategic location that is convenient for ‘combined transportation,’ we must prepare for the future demand of Jinhae New Port by diversifying the hinterland complex location policy.

 

In addition, as Gyeongsangnam-do has a logistics air city construction plan for a total of three regions, Gimhae, Changwon-Jinhae, and Geoje in preparation for the opening of Jinhae New Port and Gadeokdo New Airport, it was proposed to include the inland container base ICD construction plan in the next project. .

제보는 breakgn@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