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창원특례시 대상공원 주민들 "대상공원 개발사업, 바로 잡아달라" 호소

"개발대상에 포함된 토지 공시지가 상승하기는 커녕 하락했다"

이성용 기자 | 기사입력 2023/11/10 [09:32]

창원특례시 대상공원 주민들 "대상공원 개발사업, 바로 잡아달라" 호소

"개발대상에 포함된 토지 공시지가 상승하기는 커녕 하락했다"

이성용 기자 | 입력 : 2023/11/10 [09:32]

▲ 대상공원 주민들이 창원시청 정문앞에서 정장한 토지보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하고 있다.


[브레이크뉴스=이성용 기자] 대상공원 주민 A씨는 이번 창원시가 발표한 감사 중간 발표를 보고 "창원시 발표를 두고 지난 정권 때리기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은데, 대상공원 원주민들은 대대로 살아오던 터전이던 집과 땅을 개발이라는 이유로 말도 안되는 가격으로 빼앗겼는데 이를 바로 잡아달라는 것이 정권과 무슨 상관이 있느냐"며 울분을 토했다.  

 

창원시가 지난 9일 감사관을 통해 사화·대상공원 민간특례사업 감사 중간 발표를 위한 기자회견을 자청하고, 지난 민선7기에서 진행된 대형 사업에 대해 의혹이 제기되거나 문제가 있는 사업들을 발표했다. 

 

신병철 감사관은 감사 배경에 대해 지난 9월 13일 창원시의회 임시회에서 구점득 의원이 지적한 사화공원 특례사업에 대해 문제점이 있다는 점을 제기해 감사를 착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 신병철 감사관이 지난 9일 사화·대상공원 민간특례사업 감사 중간 발표를 위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감사 대상에는 사화공원과 대상공원 민간특례개발사업으로, 각각 9천억 원 대의 대형 사업이다. 창원시 발표에 따르면 민간사업자는 공원 전체 부지를 매입해 개발하고, 전체 부지 중 70%를 창원시에 기부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며, 결국 창원시에 총 1,051억 원 상당의 재정적 손해를 끼쳤다는 것이다.

 

또 민간사업자의 수익을 확보해주기 위해 세대수 증가 등의 사업변경이 있었지만, 창원시에 환원해야할 100억 원을 협약서에 명시하지 않아 창원시에 손해를 끼쳤다는 것이다. 따라서 창원시는 부적절한 업무처리 등이 확인된 관련자에 대해서는 내부 조치와 함께 책임을 물을 것이며, 담당부서에 대해서는 재정손해 복구 방안을 강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20년 7월 1일 도시계획시설 일몰제 시행에 따라 시행된 민간개발특례사업은 민간과 공공 모두의 공동 이익을 목표로 시작한 사업이었다. 구 의원이 지난 임시회에서 지적한 부분도 사화공원 민간사업자가 당초 조수미 예술학교를 건립하겠다는 참신하면서도 지역을 위해 달콤한 제안이었다고 했다. 

 

창원시도 이런 제안을 한 개발사업자가에게 후한 점수를 주면서 사업자로 선정됐지만, 첫 삽도 뜨기 전에 계획이 무산되며 오늘날까지 의혹만 야기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당시 담당 부서에서도 쏟아지는 의혹에 대해 명확한 해명보다는 설득력 없는 답변만을 내놓았다.

 

대상공원 개발사업도 많은 의혹을 남겼는데, 개발사업 부지에서 대대로 거주해 온 원주민들은 개발대상에 포함된 토지의 공시지가가 상승하기는 커녕 오히려 하락했다며, 토지보상의 부당함을 알렸고 창원시청 정문에서 억울함을 호소하며 정당한 토지보상을 요구하는 시위를 했다. 

 

대상공원 원주민이라고 밝힌 50대 B씨는 "이렇게 의혹 투성이로 전락한 대상공원 개발사업에 대해 창원시가 감사를 시작한 이상 이번 기회에 서로를 위해서라도 재기되는 의혹들을 말끔히 해소하고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지금이라도 제대로 잡아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

 

*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Natives of Daesang Park appeal, “Please correct Sahwa and Daesang Park development projects.”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target has fallen rather than rising.”

 

Mr. A, a resident of Daesang Park, looked at the interim audit announcement announced by Changwon City and said, "Some people say that the Changwon City auditor's announcement is a slap in the face of the past administration. However, the natives of Daesang Park are paying an absurd price for the land that has been their home for generations due to development." “It was taken away, so what does asking for it to be corrected have anything to do with the regime?” he said, expressing his anger.

 

On the 9th, Changwon City volunteered to hold a press conference through the auditor to announce the interim audit of the Sahwa and Daesang Park private special projects, and announced projects that raised suspicions or had problems with large-scale projects carried out in the 7th popular election.

 

Regarding the background of the audit, Auditor Shin Byeong-cheol explained that the audit was initiated after a problem was raised with the Sahwa Park special project pointed out by Rep. Gu Jeom-deuk at an extraordinary meeting of the Changwon City Council on September 13.

 

The subjects of the audit are Sahwa Park and Daesang Park private special development projects, each of which is a large-scale project worth 900 billion won. According to Changwon City's announcement, the private business was supposed to purchase and develop the entire park site and donate 70% of the total site to Changwon City, but failed to do so, ultimately causing a financial loss worth a total of 105.1 billion won to Changwon City.

 

In addition, there were changes to the business,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households, to secure profits for private operators, but the 10 billion won that should be returned to Changwon City was not specified in the agreement, causing a loss to Changwon City. Therefore, Changwon City announced that it will hold accountable those involved in inappropriate work handling along with internal measures, and plans to seek ways to recover financial losses from the responsible department.

 

The private development special project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urban planning facility sunset system on July 1, 2020 was a project that was started with the goal of common benefit to both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Another point that Rep. Koo pointed out at the last extraordinary meeting was that the private operator of Sahwa Park initially proposed a novel and sweet proposal for the region to build Sumi Jo's Art School.

 

Changwon City was also selected as the developer by giving generous scores to the developer who made this proposal, but the plan was canceled before even the first shovel was broken, resulting in a result that only raises suspicions to this day. The department in charge at the time also provided unconvincing answers rather than clear explanations in response to the avalanche of suspicions.

 

The target park development project also left behind many suspicions. Native people who have lived in the development project site for generations said that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of the land included in the development target fell rather than increased, and reported the unfairness of land compensation and expressed their sense of injustice at the main gate of Changwon City Hall. They protested and demanded fair land compensation.

 

Mr. B, in his 50s, who revealed that he is a native of Daesang Park, said, "Now that Changwon City has begun an audit of the Daesang Park development project, which has become so full of suspicion, we will take this opportunity to completely resolve any suspicions that are resurrected for both sides, and if there are any mistakes, they will be properly addressed now." “I want you to catch me,” he said, raising his voice.

 

제보는 breakgn@naver.com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